http://www.filedropper.com/vmware-darwin-200
==> 실제 설치할 Vmware OS X용 guest 패키지
http://www.filedropper.com/vmware-darwin-voodoo
==> 유사시 사용하게 될 지도 모르는 하드웨어 호환이 좋은 비상용 커널
http://www.filedropper.com/darwin-wks7 (Workstation 7 and Snow Leopard support)
==> Vmware Workstation 7.0과 Snow Leopard를 지원하는 버전의 darwin.iso.
10.5.6을 깔때는 그냥 마운트 해서 vmware toolkit 설치할때만 사용했고,
10.6을 깔때는 Vmware OS X guest package 쪽의 darwin.iso와 바꿔치기 한 뒤
guest package를 설치하고 나서 OS X 설치를 진행했다.
1. Vmware OS X guest package를 설치한다.
vmware-darwin-200이 압축 해제된 디렉토리로 들어가서,
- 윈도우 : setup.cmd install
- 리눅스 : sudo ./setup.sh --install
(실 행 안될때는 'chmod +x setup.sh'와 같이 해서 실행 권한을 줄 것)
이 과정에서 darwin.iso 가 vmware에 OS X용 부팅 이미지로 등록되게 된다. 공개키를
이용한 전자서명 방식으로 등록하게 되는데 vmware 자체의 키를 알 수 없는 관계로
별도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전자서명하여 등록하는 방식으로 처리한다.
1.1 스노우 레오파드를 설치할 경우
1 항의 압축 풀린 디렉토리에 보면 darwin.iso 가 있는데 이것을
http://www.filedropper.com/darwin-wks7 (Workstation 7 and Snow Leopard support)
여기에서 받은 압축파일을 풀면 나오는 darwin.iso (약 25메가 정도 된다)로 바꿔치기하고
setup.cmd install 과 같이(자세한 것은 1 항 참고) 인스톨하면 Snow Leopard 지원되는
부팅CD 이미지가 실치된다. 이후는 아래 설명과 동일하게 진행한다.
darwin.iso를 바꿔치기 하지 않으면 10.6 설치 DVD가 부팅되어 밝은회색 바탕에 사과 그림에서
어두운 회색 바탕화면으로 바뀐 뒤 더 이상 진행이 안된다.
내 경우는 다른 글들을 보면 디스크 파티셔닝은 10.5 대에서 미리 해 놓아야 한다는 부분이 있어서
10.5.6 설치 DVD로 파티션을 미리 만들고 나서 10.6을 설치했다.
2. custom vm을 생성한다.
- guest 종류는 others -> freebsd 64 bit.
- 하드 디스크는 필히 SCSI로 잡을 것.
(1.5.6 설치 디스크에서는 IDE 로 잡을 경우 하드를 인식못함)
- CD-ROM 드라이브 적당히 잡으면 된다(CD-ROM은 IDE를 가리지 않는다)
3. vm 생성 끝나자 마자 파워넣고 실행하는지를 결정하는 체크박스는 일단 해제한다.
4. vm 을 실행시켰다 종료시킨다. 네트워크 부팅한다고 한참 가만 있는데 그때 끄면 된다.
이때 vmware는 실제 필요한 설정값들을 설정파일에 많이 추가시켜 놓게 된다.
6. vm이 저장된 폴더에 보면 xxx.vmx 라는 설정파일이 있는데 그것을 연 후 다음과 같이
한다.
- guest O/S의 종류 수정 원래는 freebsd-64 일 것이다.
guestOS = "darwin-64" ===> 설범이를 깔 경우는 "darwin10-64" 로 해야만 된다.
(darwin-64로 하면 부팅하다 에러남)
- 다음 항목들 추가
ich7m.present = "TRUE"
smc.present = "FALSE"
keyboard.vusb.enable = "TRUE"
mouse.vusb.enable = "TRUE"
monitor.virtual_exec = "hardware"
monitor.virtual_mmu = "software"
7. OS X를 설치하시면 됩니다. vm을 시동하신 후 즉시 vm 화면을 마우스 클릭해서
키보드 입력이 vm에 전달되도록 한 뒤 부팅시 적절히 메뉴 선택을 해서 진행하면 됩니다.
나머지는 리테일과 동일합니다.
8. 설치 후 리부팅과정을 거쳐 각종 사용자 설정을 완료합니다.
9. darwin-wks7의 압축을 푼 디렉토리의 darwin.iso를 마운트한 뒤 파인더가 뜨면
거기 있는 vmware 툴킷을 설치합니다.
재미있는 사실 : 10.6 설범이 설치 후 autofit guest 옵션이 적용됐다. 10.5.6 에서는
전체화면으로 이동할 때만 자동으로 적용됐었다.
이게 Mac OS X guest pack의 부팅CD 교체 때문인지 10.6에서만 지원
되는것인지는 잘 모르겠다. 어차피 10번 항의 드라이버로 갈아치우면
자동조절 기능은 그때부터 물 건너가는거지만...
10. Zenith432 닉네임으로 insanelymac.com을 검색하면 오디오 / 비디오 드라이버가 나오는데
그걸 구해서 설치한다.
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s/vmsvga2/files
X86OSX.com 의 내용을 인용
'Tip & Tech > Instal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드로이드(Android) 앱(App) 개발 환경 프로그램 설치 및 설정 (0) | 2011.09.20 |
---|
댓글